등 |
Wisteria floribunda (Willd.) DC. |
5월에 꽃이 피는 콩과/등속의 낙엽 활엽 만경목
등(藤)은 위로 감고 올라간다는 의미를 가진 이름이다. 등나무, 참등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하는 난온대 수림의 장수하는 식물이다. 우리나라에는 남부지방에 드물게 야생한다. |
꽃은 5월에 연한 자줏빛이나 흰색으로 잎과 같이 피고, |
여름에 뙤약볕을 피해 그늘을 만들기 위해 흔히 심으며 원예 및 조경수나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심는다. 어린잎이나 꽃은 나물로 해먹는데, 꽃으로 만든 음식을 등화채라고 하며, 가을에 익은 종자는 볶아 먹기도 한다. 향기가 좋아 중국에서는 등나무 향을 많이 쓴다. |
갈등(葛藤)의 갈(葛)은 칡을 의미하며, 등(藤)은 등나무를 의미한다. 칡은 왼쪽으로 감고 올라가고, 등나무는 오른쪽으로 감고 올라간다. 갈등은 두 종이 함께 얽혀버리듯이 대립과 모순으로 뒤엉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한다. 하지만 두 종은 서식처와 지리적 분포중심지가 각기 다르다고 한다. |